기본 정보
A:
올림픽
2021년 7월23일 금요일 – 8월 8일 일요일
패럴림픽
2021년 8월 24일 화요일 – 9월 5일 일요일
A:
스포츠는 세계와 미래를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도쿄 1964 대회는 일본을 완전히 변화시켰고, 대회 사상 가장 혁신적인 대회인 도쿄 2020도 세 가지 핵심 가치를 바탕으로 세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려고 합니다.
- 개인의 최고를 달성
- 다양성 안의 통합
- 내일로의 연결
더 자세한 내용은 대회 비전 페이지를 참고해 주세요.
경기 일정
A:
경기 시간은 대회 몇 주전에 발표됩니다. 또 기존 일정을 검토한 후에 몇몇 일정이 재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이 있는 경우 상세 정보는 이 웹사이트에 공지됩니다.
A:
경기 운영과 관련한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을 만들고 있습니다.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해당 매뉴얼에 맞춰 대응할 계획입니다.
A:
종목마다 다르지만, 각 종목 국제 협회가 어떤 나라나 지역이 올림픽에 참가할 자격을 얻었는지를 확정한 후인 2020년 봄에 실시될 예정입니다.
A:
파도 상황에 따라 경기 일정이 바뀔 수 있습니다. 상황이 괜찮다면 경기는 4일 만에 끝나지만, 시간이 더 필요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올림픽 서핑 페스티벌 기간 (7/26 ~ 8/2) 중의 4일로 일정이 잡혀 있습니다.
경기장
A:
경기 대부분이 도쿄 수도권에서 개최됩니다.
농구는 사이타마현 사이타마 슈퍼아레나에서 열리고, 골프는 사이타마현 카스미가세키 골프 클럽에서, 사격 경기는 사이타마현 아사카 사격장에서 열립니다. 요트 경기는 카나가와현 에노시마 요트 하버에서 열립니다.
사이클링 트랙 경기는 시즈오카현 이즈 벨로드롬에서 열리고, 산악 자전거 경기는 시즈오카현 이즈 마운틴 바이크 코스에서 열립니다. 레슬링, 펜싱, 태권도 경기는 치바현의 마쿠하리 메세 국제 전시장에서 열립니다.
축구 조별 예선 경기는 도쿄 스타디움, 삿포로돔 (홋카이도), 미야기 스타디움 (미야기현), 사이타마 스타디움 (사이타마현), 요코하마 국제 경기장 (카나가와현)에서 열립니다. 조별 예선 경기를 위한 추가적 경기장 사용 여부를 국제 축구 연맹 및 출전국 연맹과 논의 중에 있습니다.
A:
많은 관계자들이 올림픽 운영에 관여하고 있으며 도쿄 2020 조직위원회는 모든 임시 시설물 건설을 책임집니다. 올림픽 수영 센터, 아리아케 아레나, 우미노모리 수상경기장, 카누 슬라럼 경기장, 유메노시마 양궁장, 무사시노모리 스포츠 센터 같은 영구 시설물은 도쿄도청이 관리합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주경기장 건설은 일본 스포츠 위원회.가 관리합니다
A:
신국립경기장 건설 책임은 일본 스포츠 위원회 (JSC)와 일본 정부에게 있습니다. 경기장 건설 계획은 2016년 12월에 시작되었고, 완공 예상은 2019년 11월입니다.
A:
네. 미야기현의 미야기 스타디움에서 축구 조별예선 경기가 열립니다. 2020 대회는 자연재해를 극복하는 일본을 상징하는 대회가 될 것입니다. 이번 대회는 일본의 미래를 위해 전 국민을 고취하는 역할을 할 것입니다.
대회 개막 전 훈련캠프
A:
일본 전역의 많은 도시가 개막 이전 훈련 캠프 유치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0 도쿄 올림픽을 준비하기 위한 개막 전 훈련장의 후보 지역을 알린 바 있으며, 각국 올림픽 위원회와 종목 위원회는 이를 기반으로 선호하는 훈련장을 정하고, 관련 지자체와 협의를 진행하면 됩니다.
선수촌
A:
선수들이 대회 기간 최대한 경기에 집중할 수 있도록 선수촌은 선수들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한된 지원 인력과 출입 허가를 받은 사람들만 출입할 수 있습니다.
직원 채용
자원봉사
A:
자원봉사와 관련한 정보는 도쿄 2020 조직위원회 홈페이지에 게시될 예정입니다. 참고로 런던 2012와 리우 2016은 대회 2년 전부터 자원봉사 모집을 시작했습니다.
입장권
A:
다음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입장권과 도쿄2020 ID에 대한 FAQ (영어 및 일본어)
도쿄 2020 대회 엠블럼
A:
올림픽과 패럴림픽에 관련된 명칭, 로고, 그리고 다른 형상화된 표식은 허가 없이 사용될 수 없으며 올림픽과 패럴림픽 대회에 직접적으로 연관이 되어 있는 단체들(정부, 개최 도시, 공식 스폰서 등)만이 사용 권리를 가집니다. 심지어 공식 스폰서들도 도쿄 2020 조직위, 국제 올림픽 위원회/국제 패럴림픽 위원회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 올림픽과 패럴림픽에 연관된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식 상품
A:
현재 2020 도쿄 올림픽과 패럴림픽 관련 상품은 일본 내에서만 구매가 가능합니다. 해외 판매 일자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
스폰서
A:
스폰서는 금전적인 지원 뿐 아니라, 해당 카테고리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올림픽과 패럴림픽 무브먼트를 홍보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시행하며, 이를 통해 대회의 공식 명칭과 이미지, 관련 자료(사진 및 영상 이미지 포함), 공식 프로그램 등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2020 도쿄 올림픽 스폰서십 계약 규정에 따르면 국내 스폰서는 도쿄 2020 올림픽과 패럴림픽 대회, 2016 리우와 2018 평창의 일본 올림픽과 패럴림픽 대표팀의 파트너이며 모든 국내 스폰서 계약은 2020년 12월로 종료됩니다.
A:
세 등급의 국내 스폰서가 있습니다. 가장 높은 등급은 골드 파트너, 다음은 공식 파트너, 세 번째가 공식 서포터입니다.
A:
계약 기간과 권리 사용 여부에 따라 스폰서십 등급이 나뉩니다. 특히 스폰서십 카테고리에 따라 다음 권리가 다릅니다: 웹사이트, 광고, 홍보 이벤트에서 스폰서 로고 노출 방법과 빈도; 대회 장소에서 회사의 상품 홍보를 위한 공간을 구매할 수 있는 우선권; 올림픽 성화 봉송이나 문화 행사 같은 이벤트 참가 권리 구매 우선권.
대회 예산
대회 예산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A:
이번 대회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예산 – 도쿄 2020 조직위원회 (OCOG) 예산 – 은 일본 정부와 도쿄도청이 편성한 새 경기장 건설 예산과는 별도로 확보되었습니다.
도쿄 올림픽 조직위 예산은 IOC 출연금, 스폰서십, 티켓 판매, 라이센싱 금액으로 충당되며 국고 사용은 없습니다.
도쿄 2020 조직위원회는 작년 말 갱신된 조직위 예산을 공개했습니다.
관계자들의 예산 최적화 노력 덕분에 현재 OCOG의 지출은 47억 달러 (5,000억엔), 유관 부서 지출은 100억 3천만 달러에서 121억 달러 (1조엔 ~ 1조 3천억엔)으로 예상됩니다.
도쿄 2020 조직위, 도쿄도청, 일본 정부는 성공적인 대회 운영을 위해 힘을 모으고 있습니다.
2020 도쿄 올림픽 개최가 확정되고 많은 시간이 흐른 지금, 대회 운영에 관한 추가 사항들이 더욱 명확해지고 있습니다. 특정 분야의 예산이 당초 예상보다 상승했고, 이 중에는 테러 방지 대책 실행 등의 특히 중요한 분야가 포함됩니다.
도쿄 2020 조직위와 도쿄도청, 일보 정부, 관련 기관은 대회 운영 계획을 강화하고, 추가 예산을 줄이며 효과적인 투자를 하기 위해 활발히 논의 중입니다.
A:
IOC에 제출한 유치 신청 파일은 도쿄 2020 유치 위원회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당시 대회 비용으로 산정되었던 8천억엔에는 보안, 운송, 기술 관련 예산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고, 이 금액은 도쿄시와 중앙 정부가 부담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유치 당시의 금액과 현재 발표된 총 예산을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합리적인 계산이 아닙니다.
A:
일본 내 몇몇 장소 중에서 가장 적절한 위치를 도쿄도청이 선택했고, 입찰 과정에서는 관련 종목의 협회에서 승인을 받았습니다.
도쿄 2020 조직위원회와 IOC는 도쿄 2020 조직위의 설립과 함께 건설 계획을 검토했고, 우미노모리 수상경기장의 건설 비용을 논의했습니다.
IOC는 대회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분은 “올림픽 비용”으로 분류하고, 2020년 이후 대중에게 개방 된 이후의 시설 비용은 “유산 비용”으로 분류했습니다.
IOC는 도쿄도청이 제출한 우미노모리 수상경기장의 올림픽 비용 98억엔과 유산 비용 393억엔총 비용을 승인했습니다.
패럴림픽
A:
패럴림픽 무브먼트는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국제적인 스포츠적 움직임입니다. 패럴림픽 무브먼트의 비전은 장애인 스포츠를 통해 포용적인 사회를 만들어 가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패럴림픽 운동은 장애인 스포츠가 세 가지 주요 부문에서 변화를 일으킨다고 생각합니다: 태도, 이동성, 기회.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는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 장애를 가진 사람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고, 이동성과 접근성을 증대시키며, 장애를 가진 사람도 교육, 스포츠, 의료, 취업에서 동등한 기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실히 하고자 합니다.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 (IPC)는 이러한 변화가 스포츠를 통해 시작되며, 패럴림픽 무브먼트가 유엔의 17가지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를 추진하고 더 포용적인 사회를 만드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1989년 이래로 IPC는 패럴림픽과 패럴림피언들을 중심으로 스포츠를 통해 이런 변화를 만들어왔습니다.
패럴림픽 무브먼트는 국제적인 지위와 패럴림피언들의 명성을 이용하여 장애와 관련된 인식을 바꾸고, 사회 변화를 이끌고, 모두를 포용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만 합니다.
패럴림픽 무브먼트는 모든 선수들과 국가별 패럴림픽 위원회 (NPCs), 장애인 스포츠 기구 (IOSDs), 국제 연맹 (IFs), 지역기구 (Ros) 같은 IPC 산하 조직들과 IPC의 내규와 헌장에 따르는 기타 단체들이 포함됩니다. 패럴림픽 무브먼트와 관련되기 위해서는 IPC의 승인이나 정식 멤버십이 필요합니다.
A:
장애를 가진 사람이나 선수와 대화나 인터뷰, 소통할 때 일반적으로 유의해야할 몇 가지 사항이 있으며 다음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패럴림픽 취재 가이드(영문)
A:
등급 분류는 패럴림픽 대회의 기본 틀을 형성합니다. 패럴림픽 스포츠에서 경쟁하는 선수들은 경쟁에 불리하게 작용되는 장애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스포츠 퍼포먼스 측면에서 장애의 영향을 최소화시키고, 선수의 성공이 기술과 체력, 힘, 지구력, 전술 능력과 정신력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하나의 시스템이 도입되었고, 이 시스템이 등급 분류입니다.
등급 분류는 패럴림픽 스포츠에 참여할 자격 요건을 갖췄는지를 판단하고, 자격을 갖춘 선수들을 다시 운동 능력의 한계에 따라 종목별 그룹들로 나눕니다.
패럴림픽 무브먼트는 다음 10가지 장애 유형 중 최소한 하나에 의해 영향을 받는 선수가 참가할 수 있습니다: 근력장애, 수동관절가동, 사지결손, 다리 길이 불균형, 단신, 긴장항진, 운동실조, 무정위운동, 시각 장애, 지적 장애.
등급분류 규정은 종목별로 다르며 해당 종목를 관할하는 국제 연맹(IF)에 의해 정해지고, 연맹들은 주기적으로 등급분류 규정을 검토할 의무를 가집니다.
IF는 장애 정도와 맞는 스포츠를 결정합니다. 어떤 패럴림픽 종목은 특정 장애를 가진 선수들을 위해서 고안되었고, 예를 들어 골볼은 시작 장애를 가진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 이런 특별한 종목을 제외하고, 육상이나 수영같은 종목들은 10가지 장애에 해당하는 선수들 모두에게 열려 있습니다..
IF는 장애의 정도에 따른 종목 참가 가능 여부도 심사하며 이를 ‘최소 장애 기준’이라고 합니다. 선수가 최소 장애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해당 종목에 참가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는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닌, 해당 IF의 규정 하에서 선수가 특정 종목 참가가 가능한가를 판단하는 기준일 뿐입니다.
종목 마다 요구되는 ‘최소 장애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종목 마다 다른 등급분류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팔에 손상을 입은 선수는 수영보다는 육상에서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등급 분류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등급분류 안내'를 참조해 주세요.
A:
패럴림픽 상징(아지토스)은 빨강, 파랑, 초록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세 가지 색상은 전 세계 국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색입니다
라틴어로 “나는 움직인다”라는 뜻에서 따온 아지토스는 전 세계에서 선수들이 모여들고, 경쟁한다는 패럴림픽 무브먼트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또한 아지토스는 패럴림픽의 표어인 “Spirit in Motion”, 모든 패럴림피안이 가진 강인한 의지를 나타냅니다.
패럴림픽 심벌은 패럴림픽 선수들이 경기력을 통해 전 세계 사람들에게 계속해서 감동과 흥분을 선사한다는 사실역시 나타냅니다. 항상 전진하고 절대 포기하지 않는 정신.
현재의 패럴림픽 심벌은 2019년에 발표되었습니다.
A:
패럴림픽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규모가 큰 스포츠 이벤트로, 2016 리우 대회에는 4,000명 이상의 선수가 참가했습니다. 대회 운영 인원, 자원봉사자, 숙소, 교통 등 투입되는 대회 운영 규모가 무척 크기 때문에 올림픽과 동시에 운영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IOC와 IPC의 협정에 따라 패럴림픽은 항상 같은 개최 도시에서 올림픽 직후에 열리는 것으로 결정되었습니다.
2020 개최 도시 계약
개최 도시 계약 관련 자세한 내용을 아래 링크에서 확인 바랍니다.
A:
아젠다 2020의 토대에 맞춘 올림픽 조직 위원회(OCOG)의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도쿄 2020의 모든 관계자들은 대회 운영에 필요한 요소들을 수정했고, 2015년 IOC가 그 수정안을 발표했습니다. 이제 이해당사자들의 협의가 마무리되었기에, 개최 도시 계약을 공개합니다.
A:
The Olympic ID connects you to a personalized digital experience and allows you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Olympic Games and Olympic Movement. You can use your Olympic ID to login and engage with any of the following platforms:
올림픽 ID는 개인화된 디지털 경험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올림픽과 올림픽 무브먼트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올림픽 ID를 사용해 다음의 모든 플랫폼에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도쿄 2020 웹사이트, 도쿄 2020 공식 모바일 앱, 올림픽 채널 웹사이트와 올림픽 채널 모바일 앱.
A:도쿄 2020 웹사이트의 로그인 버튼을 클릭한 후 올림픽 ID를 등록하거나 웹사이트 메뉴를 통해 찾을 수 있습니다.
A:
해당 웹사이트 (https://ticket.tokyo2020.org)에서는 올림픽 ID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Tokyo 2020 ID를 만들어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A:
네 가능합니다. 올림픽 ID는 다음 플랫폼에서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도쿄 2020 웹사이트(tokyo2020.org), 도쿄2020 모바일 앱, 올림픽 채널 웹사이트 (olympicchannel.com), 올림픽 채널 모바일 앱.
A :
도쿄 2020 조직위원회 웹사이트에서 티켓을 구매하기 위해서는 Tokyo 2020 ID가 필요합니다. 해외 판매는 추후 공개됩니다.
A:
로그인 페이지의 “비밀번호 찾기”에서 비밀번호를 찾을 수 있습니다.
A:
마케팅 정보 구독 해제는 계정 정보에서 설정을 변경하거나, 마케팅 정보 하단의 링크를 통해 설정할 수 있습니다.
A : 다른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고 싶다면 현재 사용 중인 올림픽 ID를 지우고 새로운 ID를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개인 정보와 관련해 더 자세한 사항을 알고 싶다면 프라이버시 정책 페이지를 방문해 주세요.
다른 문의 사항이 더 있으면 아래 주소로 연락해주세요:
국제 올림픽 위원회 (IOC)
Château de Vidy
P.O. Box 356
1007 Lausanne, Switzerland
이메일로 연락하기
enquiries.contact(at)olympic.org
위에 표시된 이메일 주소는 정크 메일 방지를 위해 형식이 변경되어 있습니다. 이메일로 연락 할 때는 (at)을 @로 바꿔서 보내야 합니다.